본문 바로가기
대출 정보 히스토리

주담대 DSR 직접 계산 하는 방법

by 대출없는그날까지 2024. 5. 24.

 

안녕하세요~~~

주담대 신청할때 대출 신청 조건중 가장 중요한 DSR 비율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 드리겠습니다.

 

온라인에 DSR계산기라고 검색하면 쉽게 알아 볼수 있기 합니다.

그래도 계산 방식을 알아 놓는다면 급할때는 대략적인 비율계산이 되기 때문에 도움이 될듯 하여 간단히 정리 해봤습니다.

 

다들 아시겠지만 DSR 이란 연간 상환해야 될 부채 원리금 상환 비율을 말합니다.

현재 은행권인 1금융권의 경우는 40%이내 , 2금융권의 경우는 50%이내로 제한을 하고 있습니다.

(보험사는 2금융권입니다.)

 

주담대 신청시 DSR비율이내에는 기존 부채를 포함하여 신규 신청하는 대출금액을 포함한 비율을 말합니다.

DSR계산시  대출별로 계산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이부분만 잘 인지 하시면 됩니다.

 

먼저 각 대출의 실제 상환방식 적용은 주담대만 해당되며 비 주택담보대출의 경우는 공식같은 계산법이 따로 있습니다.

신용대출 -- 대출만기 5년(60개월)= 실제 금리= 만기기준으로 원리금 계산

비주택담보대출 -- 대출만기 7년(84개월) = 실제 금리 = 만기 기준으로 원리금 계산

주택담보대출 -- 대출만기 실제 기간 적용 = 실제 금리 =만기 기준으로 원리금 계산

 

이런 방식으로 계산 되기 때문에 신용대출금액이 어느정도 있어도 소득이 높지 않음면 대부분 DSR 초과로 나오게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연봉 5000만원
신용대출 5000만원 - 금리6%
차량 할부 2000만원 - 4%(신용대출 기간과 동일하게 적용)
주택 구입자금 3억 신청 예정 (대출 만기 35년 금리 4%)

DSR비율 약 63%

 

 

신용대출의 경우 대부분 이자 납부만 하는 방식의 만기상환 방식으로 1년단위로 연장되는 부분이라  DSR계산시 만기를

5년으로 하여 원리금 계산후 적용시킨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출 받을 계획이 있다면 현재 연소득과 부채를 확인하여 미리 계산해 보신다면 자금 활용에 있어서 도움이 되실수 있습

니다. 계산법은 참고 하시고 그래도 잘 모르시겠다 하시면 검색창에 DSR계산기 라고 검색하시면 관련 사이트 및 앱이 

나오니 참고 하시면 됩니다.

 

 

굿플랜 모기지에서는 항상 고객에게 유익한 정보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